당최 당췌 중 맞는 표기, 뜻, 예문
'무슨 말인지 당최 모르겠다' 자주 쓰는 말이지만 당최의 표기가 당최인지 당췌인지 헷갈립니다. 당최라고 쓰기엔 뭔가 하나 허전한 것 같기도 하고요. 오늘 포스트에서는 당최, 당췌 중 맞는 표기, 뜻, 예문까지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당최 당췌 맞는 표기와 뜻 당최의 뜻을 여러 사전에서 찾아보았습니다. ①'도대체' '도무지' '영'을 나타내는 부사 ② 주로 부정어와 어울려 처음부터 도무지의 뜻, 종합하면 당최는 도대체, 도무지, 영을 뜻하는 말로 부정어와 어울려 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최의 어원은 당초이며, 당최는 당초+에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당췌가 아닌 당최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당채, 당치, 당체, 당초 등 여러 가지 방언이 있으나 표준어 규정에서는 '당최'만을 표준어로 삼고..
2022. 10. 21.
위층 윗층 / 웃어른 윗어른/ 위쪽 윗쪽 /웃옷 윗옷 맞는 표기는?
위층과 윗층, 웃어른과 윗어른, 위쪽과 윗쪽, 웃옷과 윗옷 중 맞는 표기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위층, 웃어른, 위쪽, 웃옷과 윗옷은 둘다 정답입니다. 정답이 되는 이유와 간단한 예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죠. 윗층 위층, 위쪽 윗쪽 표기, 사이시옷의 조건을 파악하자 사이시옷을 어떤 경우에 쓰는지 그 조건 파악하면 위층과 윗층의 표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첫번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일 경우 쓸 수 있습니다. 합성어는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는 어근이 결합한 형태입니다. 예로 돌+다리, 책+가방 등이 있죠. 두번째, 순우리말+순우리말, 한자어+순우리말, 순우리말+한자어인 합성어야 합니다. 단어가 한자어로만 이루어졌거나 외래어인 경우(피잣집x)에는 사이시옷 규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세번째, 뒷말의 소리가 ㅍ,ㅌ,..
2022.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