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및 생활 정보

제로웨이스트 뜻 실천방법 추천 제품

by 민크라운♡ 2022. 11. 14.

미니멀라이프를 지향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제로웨이스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는데요. 제로웨이스트 (zero watse) 뜻과 실천방법, 제로웨이스트 추천 제품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제로웨이스트 뜻 

제로 웨이스트는 'zero' 와 waste(낭비, 쓰레기)' 를 줄이는 합성어로 쓰레기 배출량을 0에 가깝게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폐기물이 환경이나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땅, 물 또는 공기로 연소되지 않도록 제품 포장 및 재료의 책임있는 생산과 소비를 하며 이를 재사용하고 회수하여 모든 자원을 보존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로웨이스트는 단순히 수명이 다한 물건을 한번의 폐기물 처리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생산, 소비, 재사용의 순환적인 관점에서 환경 문제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미국의 EPA (Envrionment protection Agency)의 폐기물 흐름 및 관리의 변형에 관한 글에는 제로웨이스트에 대해 이렇게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제품 수명 주기가 끝날 때 재활용 및 퇴비화 하는 것을 넘어 제품 설계부터 시작하여 제품의 전체 수명 주기를 포괄하고 가치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재료의 사용 및 관리를 구상하는 것입니다. 이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 하고 천연자원을 보존합니다. " 

제로웨이스트 실천 원칙: 5R( Refuse, Reduce, Reuse, Recycle, Rot) 

Refuse(거절하기): 필요없는 것은 거절한다. 

Reduce(줄이기):  물건에 대한 중독과 과소비를 줄인다. 

Reuse(재사용하기): 중고품 이용하기, 기부하기, 나눔하기 

Recycle(재활용하기): 일회용품 재활용하기, 플라스틱 포장 피하고 영구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제품 찾기 

Rot: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제품 찾기 

 

제로웨이스트 실천방법 

현실적으로 제로에 가깝에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불가합니다. 당장 마트만 간다하더라도 비닐 포장지, 스트로폼, 플라스틱에 포장되어 판매하는 식료품들이 있으니까요. 중요한 건 환경문제를 마주하는 태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1. 제로웨이스트 실천방법 : 플라스틱 줄이기 

1-1. 주방세제 대신 설거지바, 설거지 비누 사용하기

플라스틱 통에 담겨있는 주방세제, 혹시 뒷면을 살펴본적 있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주방세제는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요. 아마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일 겁니다. 그릇이 깨끗이 세척되지 않는 느낌을 받아 습관적으로 세제를 펌핑해서 사용했었는데요. 당연히 환경에 좋지 않을 뿐더러 플라스틱을 버려야 하는 수고로움까지 덩달아 생기죠. 

 

그래서 찾은 대안은 설거지바(설거지비누)입니다. 제로웨이스트는 만드는 과정부터 제품이 소비자에게 도달하여 사용되고, 그것을 처리하는 과정까지 모두 환경에 해가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동구밭 설거지 바는 베이킹소다, 레몬오일, 씨솔트 등 친환경 소재가 주원료로 만들어졌습니다. 베이킹 소다가 그릇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역할을 하고, 씨솔트는 손을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하여 고무장갑 없이도 설거지를 가능하게 만들죠. 

 

플라스틱의 80%가 제품 포장과 일회용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고 하는데요. 이 제품은 종이 상자에 비닐 포장 없이 비누가 들어있습니다. 심지어 종이곽도 폐지를 재활용하여 만들었습니다.  일반 세제보다 거품이나지 않을까, 비누가 무르는 게 아닐까 걱정이시라고요?  

 

거품이 잘 난다는 평이 많습니다. 기름때는 물에 불려서 닦아내면 되고요. 면으로 만든 비누망을 함께 구매한다면 세정력과 비누 형태가 망가지는 것에 대한 염려가 줄어듭니다.  

비슷한 예로 샴푸대신 샴푸바(고체샴푸) 사용하기가 있습니다. 

1-2. 티백제품 마시지 않기 

우리가 건강해지려고 마시는 차에, 미세 플라스틱이 가득하단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삼각티백은 그 형태를 단단히 잡아줘야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일반 종이로 만들어진 티백 역시 재질을 강화하기 위해서 플라스틱이 첨가된다고 하는데요. 

 

한 연구 결과에서 플라스틱 재질이 들어간 티백으로 차를 끓이면 플라스틱 조각이 다량으로 찻물에 섞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었습니다. 검출된 량은 무려 116억개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조각과, 31억개의 나노 플라스틱 조각이며 어마어마 한 양이 입속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에 경악했습니다. 

 

귀찮더라도 티백제품, 다시팩 제품 말고 찻잎을 그대로 우려 마시는 건 어떨까요? 

 

1-3. 생수병 대신 수돗물 끓여 마시기

저는 생수를 항상 배달시켜 먹었는데요. 이번에 집을 정리하면서 생수병이 공간을 차지하는 것 마저 싫어졌습니다. 시간을 내어 생수병을 버리는 것도 싫었고요. 정수기를 들이자니  정수기가 공간을 턱 차지하고 있는 모습도 싫어질 것이 뻔해, 생각해낸 대안이 바로 수돗물 끓여마시기입니다. 

 

수돗물 특유의 냄새 때문에 거부감이 있을 겁니다. 물 끓이기 전 하루 정도 충분히 주전자 안에서 물을 재워두면 소독을 위해 넣는 염소와 유기물로 인한 석회 냄새가 가십니다. 그리고 센불로 물을 끓이면 소독 성분들이 완전히 날아가게 됩니다. 

 

생각해보니 어릴적에는 주전자에 엄마가 끓여준 보리차를 물 대신 마시곤 했었죠. 플라스틱도 줄이고 오랜만에 집에서 구수한 향기를 느껴보시는 건 어떠실지요? 

 

2. 제로웨이스트 실천방법 : 소비 줄이기 

물건에 대한 집착과 과소비를 줄여 배출되는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앞서 설명드린 제로웨이스트의 실천 원칙 중 하나인 Reduce에 관한 내용입니다. 2011년, 동일본 지진을 계기로 일본에서는 단사리 열풍이 불었습니다. 이는  물건에 대한 집착을 던져 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최소한의 물건만 갖고 살자는 미니멀라이프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당장 지진과 같은 재해가 일어나면 목숨하나 건지기도 어려운 마당에 가지고 있는 물건은 무슨 소용있겠냐는 생각을 하게된 거죠. 

 

소비하는 날을을 정하고 불필요한 소비는 줄이는 것. 이게 제로웨이스트의 첫걸음이라 생각됩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은 몇개나 될지 궁금하지 않나요?   

제로웨이스트 추천도서: 나는 쓰레기 없이 살기로 했다

나는-쓰레기없이-살기로-했다-책표지

쓰레기를 줄인뒤 가족은 더 건강해졌고 놀랍게도 생활비는 40% 절감하였으며 늘어난 시간 덕분에 진정 아끼는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제로웨이스트 추천도서: 102톤의 물음 

102톤의-물음-책표지

의도하지 않고 자각도 없이 어떻게 그렇게나 많은 쓰레기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지금껏 우리는 재앙을 향해 돌진하고 잇는 배의 행로를 바꾸기 보다는 갑판 위에 높인 의자의 위치를 바꾼 것은 아닐까? 

 

3. 제로웨이스트 실천방법 : 중고제품 사용하기, 나눔하기 

티셔츠 한장을 만드는데 970리터의 물이 필요하며, 목화를 기르는 데 사용하는 살충제의 양이 무려 25%나 차지한다고 합니다. 새 옷을 사는 것대신 중고제품을 사용하고 나눔하는 것은 어떨까요?

나에게 쓸모가 없는 물건들이 다른 사람에게는 필요한 물건이 될수도 있죠. 또 이것이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방법이 됩니다. 

 

나눔 플랫폼: 당근, 아름다운 가게, 옷캔, 굿윌스토어 

 

제로웨이스트 추천 제품

자연에서 분해되는 제품, 샴푸대신 샴푸파, 주방세제 대신 설거지 바 등이 있습니다.

 

1) 오제 제로웨이스트 끈달린 수세미 진베이지 

2) 자연으로 친환경 수세미

3)칼리오페대나무칫솔 

 

이번 포스트에서는 제로웨이스트 뜻과 실천방법, 추천제품 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